본문 바로가기

창업소식

기술창업을 준비중인 창업자를 위한 다양한 창업소식을 제공합니다.
  • 24개국 60개팀 창업하러 한국온다, K-Startup 그랜드 챌린지 최종 참가팀 60개 선정

  • 2020-08-03 조회수 2,551
중소벤처기업부 Accelerate Your Startup in KOREA K-STARTUP GRAND CHALLENGE+2020  24개국 60개팀 창업하러 한국온다 K-Startup 그랜드 챌린지 최종 참가팀 60개 선정

중소벤처기업부는 ‘K-스타트업(K-Startup) 그랜드 챌린지 2020’에 신청한 2,648개 팀에 대한 서류평가와 비대면 해외 오디션을 마치고,
44.1 대 1의 역대 최고 경쟁률을 뚫고 국내 입국할 24개국 60개 팀을 최종 선정했습니다.

중기부는 ‘K-스타트업(K-Startup) 그랜드 챌린지 2020’ 참여팀 모집을 6월 26일에 마감한 결과
‘19년(1,677개 팀 신청) 대비 58% 증가한 총 118개국에 2,648개 팀이 신청해 ’16년 사업 신설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서류평가와 비대면 해외오디션 통해 국내 입국 할 60개팀 최종 선정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 각 1개팀 처음으로 선정 선정팀 대륙별 분포 아메리카 11개팀, 18% 유럽 24개팀, 40% 아시아 23개팀. 38% 아프리카 1개팀, 2% 오세아니아 1개팀, 2%

이후 서류평가를 통과한 360개 팀을 대상으로 7월 9일에서 7월 17일까지 유럽, 미국 등 해외 5개 거점에서
비대면 해외 오디션을 진행했고 5개 거점별 오디션 결과를 취합해 최종 60개 팀을 선정했습니다.

선정팀의 대륙별 분포는 유럽 24개 팀(40%), 아시아 23개 팀(38%), 아메리카 11개 팀(18%) 순*이며,
지난해 선정팀이 없었던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는 올해 높은 신청 증가율**을 보이며 각 1개 팀이 처음으로 선정됐습니다.
* 대륙별 선정 현황 : 유럽(24개 팀, 40%), 아시아(23개 팀, 38%), 아메리카(11개 팀, 18%), 아프리카(1개 팀, 2%), 오세아니아(1개 팀, 2%)
** 대륙별 신청 증가율(%, ’19년→20년) : 오세아니아 344%(18개→80개), 아프리카 233% (90개 →300개),
유럽 193%(182개 → 533개), 아메리카 90%(186개→ 353개), 아시아 20%(1,154개 → 1,382개)

역대 최대 118개국 2,648개팀 신청 44:1의 경쟁률 통과 비대면 관련 분야의 합격팀 다수 선정팀 분야별 분포 AI 19개, 32% 헬스케어 11개, 18% E-commerce 4개, 7% 미디어 4개, 7% (3개 이하 분야 생략)


분야별*로는 인공지능(AI) 19개 팀(32%), 헬스케어 11개 팀(18%), 전자상거래(E-commerce) 4개 팀(7%) 등의 순으로 나타나
코로나19 이후 각광받고 있는 비대면 관련 분야의 합격팀이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30대 32개 팀, 20대 16개 팀으로 나타나 20~30대 비율이 80%를 차지했습니다.

* 분야별 현황 : AI(19개, 32%), 헬스케어(11개, 18%), E-commercE(4개, 7%), 미디어 (4개, 7%), 핀테크(3개, 5%),
IoT(3개 팀, 5%), 스마트시티(2개, 3%), VR(2개, 3%), 3D 프린팅(2개, 3%), 오토테크(2개, 3%), 클라우드(2개, 3%),
친환경 에너지(2개, 3%), 정보보호(1개, 2%), 로보틱스(1개, 2%), 반도체(1개, 2%), 빅데이터(1개, 2%)
** 연령별 현황 : 20대(16개, 27%), 30대(32개, 53%), 50대 이상(12개, 20%)



K-startup 그랜드챌린지 한국을 글로벌 최고 스타트업 비즈니스 허브로 육성 선정된 60개팀은 입국 후 3.5개월간 대기업과의 비즈니스 연계 및 국내 엑셀러레이팅 후 11월 최종 데모데이 개최 예정

그리고 중기부는 선정팀들이 8월 중 비자를 발급받고, 순차적으로 입국해 국내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9월부터 3.5개월간 정착 지원금, 국내 기업과의 비즈니스 연계, 멘토링 등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선정팀들이 기정착한 ‘K-스타트업(K-Startup) 그랜드 챌린지’에 참여한 선배들을 만나
정착 노하우와 사업 방식 등을 전달받고, 교류할 수 있은 자리도 마련할 계획입니다.

최종적으로는 11월에 개최될 컴업(COMEUP) 행사와 연계한 데모데이를 개최해 상위 30개 팀에는
후속 정착금을 지원하고 이중 상위 5개 팀에게는 상금도 지급할 계획입니다.

* 상금 : (1위) 12만 달러, (2위) 6만 달러, (3위) 3만 달러, (4위) 2만 달러 (5위) 1만 달러
** 정착 지원금 : (대상) 상위 30개 팀, (지원금) 4개월간 1인 팀은 월 350만원, 2인 이상 팀은 월 500만원


한편,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60개 선정팀은 입국 즉시 해외 입국자 격리시설에서 2주간 격리될 예정입니다.
중기부는 격리가 해제된 후에도 코로나19 대응 매뉴얼에 따라 개인위생교육을 주기적으로 시킬 계획이며,
관계 기관(보건소, 구청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향후 보육 기간 중 유증상자 발생에 철저히 대비할 계획입니다.

K-스타트업(K-Startup) 그랜드 챌린지
사업 개요


[사업개요]

사업목적 : 우수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외국인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국내 유치하여,
한국을 글로벌 최고의 스타트업 비즈니스 허브로 육성

지원 규모 : (’19) 44억원, 40개 팀 → (’20) 60억원, 60개팀

지원 대상 : 학사 이상 학위를 소지한 외국인, 재외 동포, 국내 해외 유학생 중 예비창업자 또는 7년 이하 창업기업의 대표자

지원내용 : 상금(최대 1.36억원) 및 국내 정착금(월 350-500만원/팀),
창업공간 및 헬프데스크 등 보육 인프라, 비자 취득 및 법인설립 등 후속 지원

- 엑셀러레이팅 : 선정된 60개 창업팀에게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 입주혜택 부여, 약 3.5개월간 보육(컨설팅, 비즈니스 연계, 교육 등) 및 행정 지원
- 비자취득 지원 : 법무부와 협업한 OASIS프로그램(창업비자 교육이수 프로그램) 운영 및 창업이민시스템 안내 등 창업비자발급 지원
- 정착지원금 : 보육기간 동안 60개팀·데모데이 선정 30개팀, 각 3.5개월(월 350만원/1인팀, 월 500만원/2인팀)
- 우수팀 선정 : 우수팀으로 선정된 상위 5개팀에 최대 12만달러 상금 지급

구분 / 세부내용 엑셀러레이팅 - 선정된 60개 창업팀에게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 입주혜택 부여 - 약3.5개월간 보육(컨설팅, 비즈니스 연계, 교육 등) 및 행정 지원 비자취득 지원 -법무부와 협업한 OASIS 프로그램(창업비자 교수이수 프로그램) 운영 및 창업이민시스템 안내 등 창업비자발급 지원 정착지원금 - 보육기간 동안 60개팀. 3.5개월 (월 350만원 / 1인팀, 월 500만원 /2인팀)  -데모데이 선정 30개팀, 3.5개월 (월 350만원/ 1인팀, 월 500만원/2인팀) 우수팀 선정 - 우수팀으로 선정된 상위 5개팀에 최대 12만달러 상금 지급 *(1위) 12만달러, (2위) 6만달러, (3위) 3만달러, (4위) 2만달러 (5위) 1만달러 <선발절차 및 보육과정> 참가신청 신청접수(5월~6월) → 선정평가 (1차) 서류심사 (2차) 비대면오디션(7월) → 엑셀러레이팅(판교 스타트업캠퍼스) 선정 대상 보육 (60개팀, 9월~11월) → 데모데이 최종선발전(30개팀, 11월 ComeUP) → 엑셀러레이팅(판교 스타트업캠퍼스) 선정 대상 보육(30개팀, 1월~4월)


[사업 실적]

"16년 사업 신설 이후 4년간 해외 스타트업 200개 팀을 보육하여,
후속 지원 100개 팀 중 국내 법인설립 89개사, 창업 이민 비자 취득 지원

<K-startup 그랜드챌린지 사업실적> (단위 : 팀, 건, 억원 / '20.4월 기준)  구분 /예산 /신청현황 국가수 신청팀 / 선정현황 국가수 지원팀 / 경쟁률 / 국내 법인설립 / 창업이민비자 창업준비 (D-10-2) 창업비자 (D-8-4) 2016 / 50 / 124 / 2,439 / 21 / 40 / 60.9:1 / 18 / 16 / 2  2017 / 45.8 / 118 / 1,515 / 21 / 49 / 31.9:1 / 23 / 18 / 8 2018 / 73.8 / 108 / 1,771 / 31 / 73 / 24.2:1 / 34 / 39 /18 2019 / 44 / 95 / 1,677 / 20 / 38 / 44.1:1 / 14 / 17 / 13 합계 / 273.6 / 445 / 7,402 / 3 / 200 / 38.6:1 / 89/ 90 / 41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창업진흥원(K-Startup)이 게시한 공공누리 제1유형의 저작물이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공공데이터로 개방중이며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OP